Scroll Top

금에 각인이 있어도 가짜일 수 있다?

한국감정금거래소-구별

얼마전 부모님의 유품으로 물려받은 보석함을 들고 오신 고객님.

24k, 14k, 18k 각인이 새겨진 악세사리를 가져오셨으나

한국감정금거래소에서 정밀 감정해본 결과 일부 도금이거나, 금이 아닌 악세사리가 섞여 있었습니다.

겉 보기 만으로는 금색 이여서, 각인이 있어서 금으로 생각하셨지만

금이 아니라는 것이 의아하시죠?

 

오늘은 진짜금 /  가짜금  / 도금을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1. 각인(Mark) 확인하기

대부분의 진짜 금 제품은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각인이 있습니다.

  • 순금: 999, 24K, 순금

  • 18K 금: 18K, 750

  • 14K 금: 14K, 585

  • 도금 제품: GP (Gold Plated), GF (Gold Filled), H.G.E 이 같이 써져있습니다.
    ex) 14kgp ,18kgp

💡Tip: 오래된 제품은 각인이 지워졌을 가능성이 있으며,

           가짜에도 각인을 새겨둔 경우가 있습니다.

2. 자석 테스트 

  • 진짜 금은 자석에 붙지 않습니다.

  • 만약 자석에 붙는다면 금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.

         💡Tip: 일부 도금 제품은 자석에 붙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3.  광택 

  • 진짜 금: 은은하고 따뜻한 노란빛, 시간이 지나도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.

  • 도금 제품: 초기에는 반짝이지만, 시간이 지나면서 속색(은색, 붉은빛 등)이 보입니다.

      💡Tip: 너무 강렬한 광택은 도금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.

4. 무게 체크

  • 진짜 금은 단위 부피당 무게가 무거워, 크기가 작더라도 상당한 중량을 가집니다.

  • 같은 크기의 제품을 비교했을 때 가볍다면 도금이나 금이 아닌 가능성이 큽니다.

 

5. 시약 테스트 

  • 금은 강한 산에도 잘 반응하지 않으나, 가짜 금이나 도금 제품은 표면이 변색 될 수 있습니다.

주의: 직접 화학 약품을 사용한 테스트는 위험하므로 전문가의 감정 서비스를 이용해주세요.

위의 방법들은 참고용이기 때문에, 100%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습니다.

가장 확실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한국감정금거래소같은 전문적인 곳에서 확인 하셔야 합니다.

 

한국감정금거래소 전국 지점에서  누구나 금 감정 무료로 받으실 수 있다는 사실!
정확한 순도, 무게, 시세까지 상세하게 확인해 드립니다.

👉 한국감정금거래소에서 무료 감정을 받아보기 

오래된 금, 가치가 있는 금인지 미리 확인해보세요!

Related Posts

Leave a comment

/branch